논문 및 연구계획서 작성
1. 교육연구의 목적 - 교육적 상황에서 행동을 예언하고 교육의 절차와 그 실현 계획을 세우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일반법칙을 만들어내는 데 있다.
2. 교육연구의 필요성
가. 교직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하여
나. 교육발전과 그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다. 급볍하는 지식,기술,사회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3. 연구계획서의 작성요령
가. ‘연구제목’ 진술요령
(1) 간결하고, 명확하게 진술하여야 한다.
(2) 연구의 목적 또는 유형, 방법이 반영될 수 있도록 진술 → 연구의 내용을 압축하여 반영하는 것이 연구목적이고 연구목적을 압축한 것이 연구의 제목이다.
예) 민주주의 우월성의 신념화 방안 연구 (×)
남북체제 비교학습을 통한 민주주의 우월성의 신념화 방안 (○)
(3) 연구를 통해 조사할 변인(독립변인, 종속변인)을 포함하도록 진술→ 독립변인+종속변인 순서로
예)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상법 훈련에 관한 연구 (×)
발상법 훈련이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
(4) 될 수 있으면 연구의 모집단이 반영되도록 진술
예) 정적강화가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수업에서 정적강화가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5) 군더더기 표현은 될 수 있으면 피함.
예) ‘~에 관한 연구’ ‘~에 관한 조사’ ‘~에 관한 일 고찰’
(6) 객관성을 고려하여 가치 중립적인 기술 → 효율적, 개선, 바람직한, 증진, 향상 등의 주관적 용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예) 남북체제 비교학습을 통한 민주주의 우월성의 효율적 신념화 방안 연구 (×)
남북체제 비교학습을 통한 민주주의 우월성의 신념화 방안 (○)
(7) 될 수 있으면 부제는 달지 않는다→ 부제는 연구의 제한에서 기술
예) 정적강화가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초등학생 중심으로 (×)
초등학교 수업에서 정적강화가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서울지역을 중심으로 (×)
나. 연구계획서 본문 작성요령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 가설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
|
Ⅱ. 이론적 배경 (관련이론 고찰) (선행연구 분석) (문헌고찰을 통한 연구자의 결론) * 연구문제에 따라 적절히 명명 |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조사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작성요령
․ 연구를 수행하게된 현실적 / 이론적 배경을 진술
․ 문제의 위상:연구하려는 문제의 사회문화적인 맥락
․ 이론적 배경 중에 중요한 부분:연구문제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의 역사에 대한 연구자의 통찰, 선행연구간의 모순 또는
이론적 공백
․ 연구의 직접적 필요성: ‘이 연구는 해 볼 가치가 있겠구나’를 부각
․ 연구문제의 진술:독자에게 연구하려는 내용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
□ 2 (구체적) 연구목적 / 가설
․ 작성요령
- 연구문제를 논리적으로 분해하여 독자로 하여금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달성하려는 목표를 설명
- 연구목표(물음), 가설은 이론적 배경에 진술된 문헌고찰과 직접적 관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조사연구시에는 연구물음 또는 연구목적, 실험연구시에는 가설을 사용
- 소급연구(ex post facto)는 실험연구는 아니지만 가설 사용이 가능
□ 3 ‘용어의 정의’ 작성요령
․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다른 연구와 비교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는 변수의 개념(concept)과 주요 용어(term)에 대한 정의
․ 사전적(constitutive), 조작적(operational)으로 정의
․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개념, 원칙에 대해서는 정의하지 않는다.
예) 직업교육, 중등교육, 성인교육……(×)
․ 연구의 제한이나 범위를 용어의 정의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
예) 초등 실과교육연구:초등학교 교과교육으로서 실과교육에 관한 연구, 즉 실과교과 교육연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글에서는 ‘실과교육연구’지에 게재된 논문을 비롯하여 초등 실과교육 관련 현장 연구 및 국내 초등 실과교육 관련 학위논문에 한정한다.
․ 연구대상에 대한 정의는 될 수 있으면 여기서 하지 않는다(연구의 제한에서).
예) 대학생:대학생은 ○○대학교 ○○대학에 1999학년도 2학기 3학년과정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을 의미한다→ 연구의 제한에서
□ 4 연구의 제한
․ 작성요령
- 연구 전체적인 제한사항 기술
- 전체 연구수행 과정상의 한계를 위주로 진술
- 구체적인 연구 방법상의 제한은 연구방법란에서 기술
- 일반적으로 연구대상이 한정적이고, 측정도구의 일반화에 대한 제한사항을 기술 → 연구제목에서 부제를 통해 연구를 제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예1) 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 수행:충북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예2) 유아의 부분-전체 지각의 발달적 차이와 인지양식:장의존성, 장독립성을 중심으로
․ 작성의 예
이 연구의 목적은 변인들간의 관계에 대한 기술(descriptive) 연구이다. Borg 와 Gall(1979)은 관계연구는 변인간의 원인, 결과관계가 성립될 수 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오직 변인들간의 관계에 대한 묘사와 설명만을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대 ○○대학의 재학생들로 제한되어 있고, 1993년 가을학기 동안에 3학년과정에 재학중인 학생들로 제한된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DCAT* 수준L은 고교 3년생을 위한 조사도구이다. 따라서 Beggs(1992) 등이 지적한데로 천정효과(ceiling effect)가 고려되었다. 한편 Miller(1989) 등의 연구에서도 DCAT 수준 L이 대학생들에게 사용하였고, 천정효과를 고려하였다. |
* Developing Cognitive Abilities Test의 준말로 인지능력 검사지의 일종 |
※ 기타 서론에 포함될 수 있는 내용
서론에서는 연구계획서의 종류에 따라 이론적 배경, 연구의 내용 및 범위, 연구의 방법, 연구의 중요성(연구의 기대효과/ 활용방안) 등을 기술할 경우가 있다. 특히 기관지원 연구계획서의 경우 연구의 내용 및 범위, 연구의 방법, 연구의 중요성(연구의 기대효과/ 활용방안)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일반적 구성요소 |
|
선택적 구성요소 |
|
← |
․연구의 배경(연구의 이론적 배경:요약) |
․연구의 필요성 |
|
|
․연구의 목적 |
|
|
|
← |
․연구 방법 / 내용 및 범위 |
․용어의 정의 |
|
|
․연구의 제한 |
|
|
|
← |
․연구의 중요성 / 가치 |
■ 연구 내용 및 범위
․ 작성요령:기관지원계획서에의 경우 연구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수행하게될 연구내용 그리고 그 연구내용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볼 사항(연구범위)를 일대일로 대응되게 기술
․ 연구 내용 및 범위의 작성 방식의 예
연구목적 |
|
연 구 내 용 |
|
연 구 범 위 |
산업인력 구조고도화 관련법령을 분석한다. |
→ |
․산업인력구조 고도화에 관한 법규의 변천과정을 고찰한다. ․산업교육진흥법을 비롯한 현행 산업인력개발에 관련된 법령을 분석한다. ․산업인력구조 고도화에 따른 현존하는 관련법령의 제한점 및 보완사항을 도출한다. |
→ |
우리나라 산업인력고도화 관련법령인 산업교육진흥법, 직업교육촉진법, 자격기본법,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 고용정책기본법, 직업안정법, 중소기업창업지원법, 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 산업기술기반조성에관한법률, 산업기술단지지원에관한특례법 등을 분석한다. |
■ 연구의 방법
․ 작성요령
- 기관지원계획서에의 경우 연구 전체적으로 사용된 방법들을 서론에 요약적으로 제시한다.
- 현장 연구, 학위논문의 경우 연구방법은 서론보다는 ‘Ⅲ장 연구방법’에서 진술하는 것이 보통이다.
․ 작성의 예
이 연구는 산업교육구조 고도화 촉진법 제정방안을 구명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사례연구, 현지방문조사, 전문가 면접 및 자문 등의 연구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문헌연구롤 통해서는 산업교육구조 고도화 관련 국내외 관련 연구와 법령을 조사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실시할 것이다. 저널 등과 같은 논문자료는 주로 ERIC과 외국의 직업교육관련기관의 홈페이지에 수록되어 있는 연구자료를 이용할 것이고, 단행본 자료는 인터넷서점을 통해 수집하여 실시할 것이다. 현지방문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산학협력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산업 및 교육현장을 방문, 관찰, 면접 등을 통하여…… |
■ 연구의 중요성(기대효과 / 활용방안)
․ 작성요령
- 보통 기관지원 연구계획서의 경우에만 작성한다.
- 연구를 통해 생산될 구체적인 새로운 지식과 결과물(조사도구)의 가치에 대한 기술
- 연구결과의 정확한 적용대상, 적용방법, 기여내용에 대한 기술
- 연구결과의 일반화의 가능성에 대한 기술
․ 작성의 예
지금까지 대학생의 교수-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학생들의 인지능력에 대한 연구가 보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인지능력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것이 기대효과를 가질 수 있다. 가. 이 연구는 ○○대학의 교수-학습과정에 확실한 기여를 할 것이다. 나.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지능력과 개인특성과의 연관성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다. 이 연구는 추후 고등교육에서의 교수학습에 있어 모든 학문분야에 도움을 주고, 추후 연구에 좋은 시사점을 줄 것이다. 라. ○○ 대학 교수들이 더 효과적으로 교수하려면,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대한 증거가 성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또한 학습양식과 학생들의 개인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통찰을 제시할 것이다. |
□ Ⅱ 이론적 배경 (관련문헌고찰)
■ 이론적 배경을 통해 문헌고찰을 하는 목적
․ 연구문제의 이론적 맥락 파악
․ 적절한 연구방법과 조사도구의 발견
․ 불필요한 연구의 반복 회피
․ 연구결과의 효과적 해석
연구문제와 관련된 기본 Keyword를 정리하고, 이것을 토대로 관련문헌 자료를 수집한 후, 연구자는 관련문헌 조사를 위한 기본틀을 가지고 관련연구를 정리해야 한다. 수많은 관련연구를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에 따라 다양하게 평가 / 분석 / 정리되어 질 수 있다. 문헌고찰을 할 때에는 관련연구 정리에 있어 관심의 초점(Focus of Attention), 관련연구 정리의 최종목적(Goal of synthesis), 관련연구 정리에 대한 연구자의 기본 관점(Perspective on the literature), 관련 연구 정리의 범위(Coverage of the literature), 관련 연구제시를 위한 조직 원칙(Organization of the presentation), 연구의 독자(Intended audience) 등에 대해 명확히 한 후 정리를 해야 할 것이다(다음의 표 참조).
특 성 |
유 형 |
관 심 의 초 점 |
․연구결과 ․연구방법 ․이론 ․실행 또는 적용 |
관 련 연 구 정 리 의 목 적 |
․관련 연구 통합을 통해 ⒜ 일반화 ⒝ 대립해소 ⒞ 관점/용어의 통일 ․기존 연구 비판 ․관련 연구들의 중심적 이슈 파악 |
연 구 자 의 관 점 |
․가치 중립적 입장 ․일부 이론지지 입장 |
관 련 연 구 정 리 의 범 위 |
․관련연구 전반에 관하여 자세히 ․관련연구 전반에 관해 선택적으로 ․대표적 연구만을 대상 ․핵심적 연구만을 대상 |
관 련 연 구 조 직 방 법 |
․역사적 흐름 고찰 ․관점/개념별 고찰 ․방법론별 고찰 |
독 자 |
․전공관련 학자 ․일반적인 학자 ․행정/ 정책 관련자 ․일반대중 |
예) 연구결과에 초점을 두고, 기존연구의 비판을 목적으로 가치 중립적인 입장에서 대표적 연구만을 대상으로 역사적 흐름에 따라 조직하여 행정/정책 관련자를 독자로 하여 관련연구를 정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
■ ‘이론적 배경’ 작성 요령
․ ‘관련이론 고찰’ 부분
- 연구문제관련 주요 개념 / 이론에 대한 다양한 기초 이론
- 관련 조사도구에 대한 기본적 자료
- 연구자의 종합적 개념 정의(용어의 정의와 동일)
․ ‘선행연구 분석’ 부분
- 관련이론과 연구문제 관련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결과
- 단락단위 또는 세부제목 단위로 동일결과를 나타난 연구들은 묶음.
․ ‘문헌연구를 통한 연구자의 결론’ 부분
- 연구자의 결론:문헌고찰을 통해 얻어진 잠정적 결론, 문제 해결책
- 문헌고찰의 결과를 종합하여 그림이나 이론적 / 개념적 모형(theoretical or conceptual framework), 표 등으로 제시하여 독자가 선행연구들을 흐름을 알 수 있게 함
□ Ⅲ 연구의 방법
■ 작성요령: 문헌연구, 사례연구, 개발연구, 조사연구, 참여조사연구, 현지방문조사, 전문가 협의회, 실험연구 등 연구에서 사용한 모든 연구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서술을 한 후 구체적인 연구방법별로 자세히 서술한다. 다음은 조사연구, 실험연구의 경우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방법이다.
□ 1 연구설계
․ 조사연구, 상관연구, 소급연구의 경우 작성요령
- 연구의 목적과 종류에 대한 진술(~기술연구, ~상관연구, ~소급연구)
- 연구대상 변인에 대한 설명과 변인간의 관계 설명
- 대립 변인(rival variable or intervening variable)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설명
․ 실험연구의 경우 작성요령
- 실험설계 유형 진술(Campbell and Stanley의 실험설계유형에 따라)
- 타당도 저해요인 진술
- 실험 통제 / 처치(독립변인) 진술
- 실험설계 요약도 제시
․ 작성의 예
이 연구는 교사의 컴퓨터 사용에 대한 태도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소급연구(ex post facto)이다. 이 연구에서 조사되는 변인은 다음과 같다. 종속변인은 ‘교사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이다. 주독립변인은 ‘컴퓨터 훈련’, ‘컴퓨터 지식’, ‘컴퓨터 기술’, ‘컴퓨터 불안’, ‘컴퓨터 사용가능환경’, ……이 있고, 대립독립변인으로는 개인특성변인과 학교특성변인이 있다. |
□ 2 연구 대상
․ 작성요령
- 모집단(실험대상) 설명
- 표본집단에 대한 제한(조사연구의 경우)사항 서술
-표본집단 선정과정(조사연구의 경우) 서술→ 표본대상자 명단 입수(sampling frame) 과정, 표집방법 (무선표집, 계층화비율무선표집…), 표집크기의 결정과 근거, 표본단위(sampling unit), 표본집단의 특성(가능하면 모집단의 특성도 같이 제시, 비교→대표성 판단 근거) 등을 서술
- ‘표집상의 오차(error in measurement)’를 조절하는 방안 서술 (조사연구의 경우) →
1. 표집오차(sampling error):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는 표본이 표집될 가능성 → 무선표집으로 통제 2. 선택오차(selection error):어떤 표본단위가 다른 표본단위보다 더 많이 선택될 가능성이 있다→ 중복되지 않게 표본단위가 선정되지 않도록 점검함으로써 통제가능 3. 명단오차(frame error):연구에서 목적으로 한 모집단과 실제 모집단이 다르게 표집될 가능성 → 최신의 모집단의 명단을 입수함으로써 통제가능 |
․ 작성의 예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농업계 고등학교 재직 교사였다. ○○년 실업계 고등학교 현황(교육부, ○○)에 의하면 전국에 96개 농업계 고등학교에 1,526명의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재직하고 있었다. 모집단에 대한 적정 표집크기(Krejcie & Morgan, 1970)와 응답율을 고려하여 총 500명이 표집크기로 결정되었다. 표집과정은 유층화 무선표집(stratified random sampling)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부록 2와 같이 33개 학교가 선정되었고, 총 564명의 교사가 재직하고 있었다. 명단오차는 최신의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현황을 이용함으로써 통제하였고, 선택오차는 중복되어 선택되는 학교를 점검함으로써 통제하였다. |
□ 3 조사도구
․작성요령
- 조사도구 개발과정 서술
- 조사도구의 특성:측정대상, 측정구조
- 조사도구의 신뢰도(reliability), 타당도(validity) 서술
- 조사도구의 현장적용성(suitablity) 서술
※ 이미 개발되어 있는 조사도구를 사용할 경우에도 각 도구에서 명시한 개발과정, 측정대상 및 구조, 신뢰도, 타당도, 현장적용성 등과 조사과정상의 유의사항 등을 기술해주어야 함.
․ 작성의 예
연구목적을 성취를 위해 연구자는 질문지를 개발할 것이다. 질문지는 다음의 9개 부분으로 구성될 것이다. (1) 교육에서 컴퓨터 사용에 대한 태도 (2) 컴퓨터 훈련 (3) 컴퓨터 지식과 기술 (4) 컴퓨터 불안 (5) 컴퓨터 사용가능성 (6) 개인특성. 학교특성 관련 자료는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현황을 통해 조사할 것이다. 교육에서 컴퓨터 사용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연구자는 실업계 교사들의 컴퓨터 사용에 대한 태도 측정과 관련된 문헌 고찰을 기초로 Yuen(1984), Gressard와 Lyod(1985), Kay(1989) 등의 연구에서 쓰인 조사도구를 기초로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 및 개작할 것이다. 매우 불찬성에서 매우 찬성까지 5점 리커트척도의 총 30문항으로 구성될 것이다. …… 각 조사도구의 내용타당도는 전문가위원회를 통해 검증할 것이다. 전문가 위원회는 세명의 측정 전문가, 세명의 내용전문가, 네명의 모집단전문가(농업 고등학교 교사)로 구성할 것이다. 전문가위원회의 자문을 통해 조사도구의 문장을 수정하고 예비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각 조사도구의 안면타당도는 모집단의 대표집단(26명으로 구성)을 통해 예비조사를 통해 검증할 것이다. 조사도구에 대한 의견과 조사실시과정에 대한 의견을 받을 것이다. 또한 예비조사를 통해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할 것이다.…… |
□ 4 자료수집(실험실시)
․작성요령
- 자료수집기간, 자료수집일정 명시
- 연구 참여자 인센티브 부여 사항 서술
- 조사실시 시간, 장소 서술
- 조사실시 과정 묘사(질문지 작성요령 및 개인 비밀보장 약속을 포함)
- 자료수집장소 묘사
- 무응답자(non-respondent) 처리(조사연구의 경우) 과정 서술
․ 작성의 예
자료의 우편조사와 ○○년 전국 실업계 고등학교 현황을 통해 수집할 것이다. 자료수집은 ○○년 겨울에 수행할 것이다. 첫 질문지는 ○○년 ○월 ○일경에 발송할 것이고, 응답 제촉문은 1주일후에 발송할 것이다. 발송내용으로는 연구목적을 적은 표지, 협조공문, 반송용 봉투과 함께 질문지와 협조문 등이 있고, 이것을 33개 농업계 고등학교 교장선생님에게 전달할 것이다. 자료 수집 마감일은 ○○년 ○월 ○일 까지로 할 것이다.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을 통해 끝까지 작성이 안된 질문지, 불성실 응답자를 추려내어 자료분석에 이용할 것이다. 무응답오차는 다음의 두가지 항목을 점검함으로써 조절할 것이다. 첫 번째는 응답학교 면에서의 응답율를 점검할 것이다. 두 번째로 응답학교의 소재지와 학교유형별로 응답률을 조사하여 서로 비교할 것이다. |
□ 5 자료분석
․ 작성요령
- 각 연구문제나 가설별 통계 적용방법에 대한 설명, 결과물 제시방법에 대한 소개
- 검증 방법 선택의 이론적 근거 제시:연구목적, 표본크기, 척도 등의 측면에서
- 자료분석법 별로 적합한 표나 그림 제시방법에 대한 설명(APA Style 또는 선행연구참조)
․ 작성의 예
기술통계치와 추론통계치가 자료분석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기술통계치는 응답자의 속성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고, 추론 통계치는 모집단에 대한 속성을 추론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모든 자료분석은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었다. 최빈값과 빈도분포가 명목척도의 자료를 기술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중간값과 빈도분포가 순위척도 자료를 기술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등간척도의 자료를 기술하는데는 평균과 표준편차가 사용될 것이다. 이분(dichotomous)변인과 등간척도 변인간의 상관관계 추론에는 Point biserial 상관관계계수가 사용될 것이다. 등간척도 변인간의 상관관계 추론에는 Peason의 적률상관계수가 사용될 것이다.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들의 설명력을 추론하는 데는 Stepwise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될 것이다. 가설 1, 2와 3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이 사용될 것이다. 가설 4를 검증하기 위해 Stepwise 다중회귀분석이 사용할 것이다. 통계치의 유의도 검증은 5% 수준으로 설정할 것이다. |
■ 참고문헌
참고문헌을 정리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 있다. 특히 학술지 게재 논문의 경우 학술지마다 다양한 참고문헌 작성규정이 있고, 논문 투고시 그 규정에 따라야 한다. 여기서는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APA)가 규정하는 양식에 따라 설명하겠다. APA양식은 교육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학술지 참고문헌 작성에 가장 많이 참고되고 있는 양식이다.
◦ 참고문헌 작성요령의 기본
자료의 형태 |
작 성 요 령 |
단 행 본 |
저자*. (출판년도). 도서명**. 출판지: 출판사. |
학 술 지 |
저자. (출판년도). 연구주제. 학술지명, 권**(호), 페이지처음-끝. |
번 역 물 |
원저자. 원도서명**. 번역자(역). 출판지: 출판사. |
학 위 논 문 |
연구자*. (출판년도). 논문제목**. 학교 학위 종류. |
현 장 연 구 |
연구자. (출판년도). 연구제목. 연구대회 종류**. |
* 서양 저자, 연구자의 이름의 경우 ‘성, 이름’으로 표기 ** 각 자료의 대표적 제목(단행본의 경우 책 제목, 학술지의 경우 학술지명과 권수, 기타 논문의 경우 논문명)에 동양서의 경우 굵은 글씨, 밑줄, 또는 다른글씨체(보통 고딕체)로 해주고, 서양서의 경우 italic로 하여 준다. ** 영문 학회지의 경우는 모든 단어는 대문자로 쓴다(단 관사와 전치사의 경우는 문장 첫 글자의 경우만). 기타 단행본, 연구보고서 등은 첫 자만 대문자로 쓴다. |
◦ 참고문헌 작성시 유의사항
․ 가나다, 알파벳 순으로 정열하되, 국문서적, 일본 및 중국문헌, 서양문헌 순으로 정열
․ 단행본과 간행물이 섞여 있을 경우에는 단행본을 먼저 기록
․ 동일한 저자의 책이 여러권일 경우, 오래된 자료를 먼저 기록한다.
예) 나승일. (1996a). 초등학교 ‘내고장 대구․경북 농업교실’ 프로그램 운영. 대구 경북 개발연구, 창간호, 15-30.
나승일. (1996b). 21세기를 대비한 학교 교양농업교육의 모형. 한국농업교육학회지, 28(3), 83-101.
나승일. (2000). 초․중․고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농업관련과목의 연계방안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자유공모과제연구 결과보고서.
․ 저자가 두명 이상일 때는 가운데 점이나 쉼표로 구분하여 기록한다. 만일 저자가 여러명이어서 다 표기하기 힘든 경우 ‘대표저자 1명외 ○인’으로, 서양서의 경우 ‘대표저자 et al.’로 기록한다(될 수 있으면 참고문헌에는 전 저자명을 다 기록하는 것이 좋다).
․ 편집자의 이름으로 저자명을 표기하는 경우‘(편)’, 서양서의 경우 ‘(ed)’라고 표기하고, 여러명일 경우 ‘(eds)’라고 표기한다.
․ 역서의 경우 역자만을 표시할 경우, 역자뒤에‘(역)’을 표시한다. 원서명도 같이 표기할 경우, 원저자와 도서명을 쓴 다음에 ‘역자(역)’을 표시한다.
예) 이강헌(역). (1994). 미국심리학회 논문작성법. 서울: 교학사.
예) 미국심리학회(편). (1994). 논문작성법. 이강헌(역). 서울:교학사
․ 일간, 주월간 자료의 경우 기명기사의 경우 ‘기자명. 기사제목. 언론사명,(년도, 월, 일). 제 ○면.’으로 표시하고, 무기명기사의 경우 기사제목부터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한다.
예) 김상석. 10대가 생각하는 농촌: 그래픽 뉴스. 토요신문,(1996. 5. 11). 제7면.
․ 저자가 없는 단행본, 보고서의 경우: 제목. (년도). 출판사 또는 연구소
예) 실업계 고등학교 종합대책 대토론회. (199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연보의 경우: 연보명. (년도-년도). 연보발행처.
예)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지표. (1998-200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재인용 문헌의 경우 참고문헌에 재인용 문헌을 기록하고 본문에 ‘원저자(○○에서 재인용, 출판년도)’식으로 표시한다(○○은 재인용 저자명).
예) ‘.... 김광석 (김현식에서 재인용, 1995)...’
․ 기 타
- 면담내용 등 기록이 남지 않는 경우는 본문에만 표기하고, 참고문헌에는 표시하지 않는다.: 예) ‘......(교육부 장관과의 면담, 1996. 11. 29).
- 인터넷 자료:저자. (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예) Dewey, R. (1996). APA publication manual crib sheet. [On-Line]. Available: http://www.gasou.edu/psychweb/tipsheet/apacrib.htm
■ ‘부록’ 부분 작성에 포함될 수 있는 사항
․ 연구대상자들에게 한 말
․ 연구대상자들의 조사동의서 내용
․ 연구대상자들이 속한 기관의 연구수행 동의서
․ 예비조사결과
․ 연구의 세부일정
․ 조사도구 예
․ 자료수집원에게 지시한 훈련사항(교육사항)
․ 전문가 위원회에 참여한 전문가들 양력
․ 연구설계와 통계분석에 대한 그림으로의 표현
․ 최종 보고서를 위한 장 구성요도
․ 연구마감까지의 연구수행계획서
4. 연구 보고서 작성시 유의점
가. 형식에 익숙해야
나. 많은 연구 보고서를 읽어 보아야
다. 충분한 시각적 여유를 가지고 작성하여야
라. 보고서의 목차가 정해지면 주요한 내용에 관하여 몇 장 쓰고,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야
마. 보고서의 인쇄는 깨끗해야
'논문 및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줌마는 강했다!"..30~40대 주부 근력 `최고` (0) | 2012.07.15 |
---|---|
한국인의 표준체형!!! (0) | 2012.07.15 |
[일원배치 분산분석] : 모수적, 비모수적 ANOVA (0) | 2008.04.23 |
t검정, F-검증(분산분석), x²검정(카이스퀘어) (0) | 2008.04.23 |
표본설계 및 표본추출 (0) | 2008.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