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이란?
오십견은 어깨 주변의 조직들이 반사적인 근육경련을 일으켜 굳어버린 증상으로 어깨가 바늘로 찌르듯 쿡쿡 쑤시고 양팔을 뒤로 마주 잡기가 어려울 정도로의 통증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특히, 어깨 결림이 오래되었을 때 오십견으로 이어지기 쉬운데, 50세 전후로 생긴다고 하여 ‘오십견’ 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사십견, 삼십견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발병 연령층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오십견은 보통 45세에서 60세 사이의 연령층에서 나타나고, 여성에게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직장인의 경우 스트레스로 인해 목 주위 근육이 경직 되면서 어깨나 팔까지 저리는 증상이 잘 나타납니다. 계절적으로는 움직임이 적고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는 겨울철에 발생빈도가 높습니다.
처음에는 어깨만 아프다가 점점 통증이 심해지면서 손목까지 아프게 되고 쉬는 동안, 특히 밤에 통증이 계속 되므로 잠을 잘 수 없을 정도가 되기도 합니다.
오십견의 증상
초기에는 어깨 관절을 중심으로 나타나지만, 점차 분포 범위가 넓어져서 손목까지 확산 됩니다. 심해지면 어깨를 움직일 때 뿐 아니라 휴식 시 특히 야간에도 통증이 계속되어 밤에 잠을 이루기 어려운 정도에 이릅니다.
|
![]() 사무기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생깁니다. ![]() |
![]() |
그 예를 보면... |
|
1) 견갑하근 이곳에 유발점이 생기면 어깨 뒤쪽과 손목에 통증이 오고 공을 던질수 없게 됩니다. |
![]() |
2) 극하근 견갑골의 아래에 있는 이 근육에 유발점이 생기면 어깨의 앞쪽과 바깥쪽이 심하게 아프고 팔의 바깥쪽을 따라 통증이 퍼집니다. 통증 때문에 주먹을 쥘 수 없고 웃옷을 입거나 벗기가 힘들고 등에 손을 갖다 댈 수 없고 바지 뒷주머니에 손을 넣을 수가 없습니다. |
![]() |
3) 극상근 견갑골의 웟쪽에 상완골의 대결절에 붙어 있는 이 근육에 유발점이 생기면 어깨 주위에 쑤시는 듯한 깊은 통증이 나타나고 팔의 바깥쪽으로도 통증이 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팔쪽에 유발점이 생기면 머리를 빗거나 양치질, 면도, 테니스의 서브를 할 때 불편을 느끼게 됩니다. |
![]() |

- 어깨가 아픈 초기 약 3일 동안은 팔을 쓰지말고 절대 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 이기간 동안 통증이 매우 심하므로 잠을 잘 수 없을 때에는 방석을 겨드랑이에 끼워 팔과 몸을 떼어 놓는 것이 도움을 줍니다. 어깨가 차면 통증이 심해지므로 어깨를 따뜻하게 해줍니다.
- 4일째부터는 운동을 해야하는데 미지근한 물에 어깨를 따듯하게 하면서 운동을 하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통증 때문에 어깨를 움직이지 않은 상태가 계속된면어깨가 굳어버리게 되므로운동이 오십견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

1) 다리미 체조 : 상채를 깊숙히 구부린 자세에서 몸의 힘을 거의빼고 아픈 어깨쪽 손으로 다리를 쥐고서 전후좌우로 운동하는 체조입니다. 아침,저녁 5분 정도씩 합니다.
(1)한 손으로 의자의 책상을 잡고 허리를 앞으로 굽힌 자세를 취한다음 아픈쪽 팔을 밑으로 늘어뜨립니다. 손에 힘을 빼고 반동을 붙여서 앞뒤로 흔들흔들 움직입니다. | ![]() |
(2)반동을 붙여서 좌우로 움직입니다. |
![]() |
(3)반동을 붙여서 왼쪽으로 둥글게 돌립니다. 이어서 오른쪽으로 돌립니다. | ![]() |
2) 벽, 옷장을 이용한 체조 (1)다리미 체조로 효과를 보았다면 이번에는 손가락을 마주선 벽위로 기어 올라가게 하는 체조를 하고, 이어 손가락을 벽위에 미끌어 뜨리면서 올라가는 체조를 합니다. |
![]() |
(2) 옷장 위에 손을 높이 올려놓고 그 상태에서 무릎을 굽힙니다. | ![]() |
3) 타올 체조
|
![]() |
4) 저항 체조
|
![]()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몸을 살리는 항암채소 6가지 (0) | 2009.02.27 |
---|---|
회전근개 (0) | 2008.10.13 |
쾌변을 위한 좋은 습관 5계명 (0) | 2008.04.12 |
'신체 리듬' 되찾는 봄철 건강 관리법 (0) | 2008.04.12 |
고혈압 환자의 생활수칙 (0) | 2008.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