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 요
JSF(Joint Strike Fighter)는 장거리 항속능력과 단거리/수직이착륙 기능을 보유하고 스텔스화된 다목적 차세대 전투기로, 미 해·공군 및 해병대, 영국 해·공군이 공동으로 확보를 추진하고 있고, Boeing 및 Lockheed Martin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 개발배경/경위
ㅇ 미국/영국의 각 군이 현 전투기/공격기를 대체, 보완할 차세대 항공기를 필요로 하던 차에 각 군별 전투기를 단독으로 개발시에는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각 군별 작전요구를 통합하여 다목적으로 운용 가능한 첨단 전투기개발을 추진
- 미 해군 : F/A-18E/F 보완할 공격기
- 미 공군 : A-10, F-16 대체, F-22 보완할 공격기
- 미 해병 : AV-8B, F/A-18 대체할 단거리 이착륙기
- 영 해·공군 : AV-8B 대체할 함재기 및 공격기
ㅇ 93 : 미 해·공군/해병대 합동 JSF 개발계획 발표
ㅇ 94 : 미 해·공군 참모총장과 국방차관 JSF 개발계획에 서명
ㅇ 95.12 : 영국 JSF 계획 참여를 위한 미-영 양해각서 체결
ㅇ 96.11 : JSF 개발 대상업체 선정(Boeing 및 Lockheed Martin)
ㅇ 00.9∼10월 : Boeing(X-32) 및 Lockheed Martin(X-35)시제기 시험비행실시
ㅇ ’01. 10 : JSF 기종 선정(록히드마틴사 : F-35)
□ 설계특성
ㅇ 기본형을 중심으로 군별 특성을 고려한 파생형 병행 개발
- 기본형 CTOL( Conventional Take-Off & Landing): 공군
- 파생형
* STOVL (Short Take-Off Vertical Landing): 해병대, 영국해군
* CV (Carrier Variant): 해군
ㅇ 공통성(Commonality)추구
- 미 해·공군· 해병대 및 영국 해·공군의 작전요구를 통합, 운용의 공통성을 높이고 복합임무 수행가능토록 개발
- 공대지 및 공대공 동시무장 등 기체 구조에서 70∼90%의 공통성을 추구
ㅇ 생존성
- Stealth 기술 적용으로 레이더, IR, 육안 탐지율 최소화(기본무장은 기내 탑재)
- 내장형 전자전 능력 구비
- 추력 편향으로 전투기동성, 실속회복 특성 향상
ㅇ 치명성
- 목표탐지 및 감지능력이 향상된 정밀유도무기 능력 구비
- 공군형 : F-22 공중우세 지원하에 지상공격 중점 전투기로 제한된 공대공 임무 수행도 가능
ㅇ 지원성
- F-16, F/A-18보다 쏘티율 향상
- 각 국간의 공통성 추구(70~80%)로 창정비, 보급라인 공동운용
ㅇ 통합 항공전자장비 : 신호처리기 통합 및 센서융합(F-22와 유사)
- 다기능 통합 RF(Radio Frequency) 체계
· 전자파 신호를 사용하는 기존 레이더, 전자전, 통신, TACAN, 적아식별장비 기능통합
· 전자식 주사 배열 송․수신기로 통합 기능 수행
‥ 공대공 및 공대지 레이더 기능(SAR, GMTI)
* SAR : Synthetic Aperture Radar
* GMTI : Ground Moving Target Indication
‥ 적 위협 신호 수신(RWR) 및 재밍 신호 방사
‥ 통신기 등 기능 수행
※ 항공기 전방부(날개 등)에 배열형 안테나 내장 : 신호 탐지
- 분산 개구 적외선 시스템(DAIRS: Distributed Aperture Infrared System)
· 다수의 초점면 배열(Focal Plane Array) 센서들을 항공기 날개전면, 동체 등에 부착하여 항공기 주변 전체 공간을 탐지(6개의 Imaging IR 센서 배치)
· 미사일 경보기(MWS), IRST(Infra-red Search and Track) 및 표적 Cueing 기능 수행
· HMD(Helmet Mounted Display)에 비디오 신호송신
※ 보잉 737을 개조한 전자장비 비행 실험실(AFL: Avionics Flying Laboratory)에서 시험 중
□ 작전운용성능(ROC)
구 분 |
미 공군 |
미 해군 |
미 해병대 | |
속 도 |
M 1.8+(F-16, F/A-18과 대등) | |||
쏘 티 율 |
F-16, F/A-18 보다 우수 | |||
무장 능력 |
공대공 |
AIM-120×2 | ||
기관포 |
내 장 |
외 장 |
내 장 | |
공대지 |
1,000lbs JDAM×2 |
2,000lbs JDAM×2 |
1,000lbs JDAM×2 | |
최대장착 |
13,000lbs |
17,000lbs |
13,000lbs | |
외 장 |
4/hardpoint는 optional | |||
작전 반경(NM) |
600 |
600 |
450~550 | |
생 존 성 |
스텔스 능력 구비 | |||
비고 |
- |
항모 이․착륙 |
수직 이․착륙 |
□ 타 전투기와 성능비교
구 분 |
JSF(공군형) |
F-15E |
KF-16 |
F-22 | |
속 도 |
M 1.8+ |
M 2.5 |
M 2.0 |
M 2.5+ | |
전투행동반경(NM) |
600 이상 |
685+ |
370+ |
1,350 | |
쏘 티 율 |
F-16보다 우수 |
- |
- |
F-15보다 우수 | |
무게 (lbs) |
자 체 |
22,000 |
32,000 |
18,600 |
31,670 |
최대이륙중량 |
50,000 |
81,000 |
42,300 |
70,000 | |
엔진 |
대수/종류 |
1/F119 |
2/F100 |
1/F129 |
2/F119 |
최대출력(lbs) |
35,000 |
29,000×2 |
29,000 |
35,000×2 | |
무장 능력 (lbs) |
공대지(내장) |
1,000×2 |
없음 |
없음 |
1,000×2 |
공대공 |
AMRAAM×2 |
AMRAAM×8/ |
AIMRAAM×6/ |
AMRAAM×6/ | |
최대장착 |
13,000 |
24,500 |
15,600 |
미상 |
□ 소요량 및 생산계획
ㅇ F-35 소요량
구 분 |
소요량 |
전력화 예상시기 |
비 고 |
미 공군 |
1,763 |
FY 11 |
A-10과 F-16 교체 |
미 해군 |
480 |
FY 12 |
F/A-18E/F 보충 |
미 해병대 |
609 |
FY 10 |
AV-8과 F/A-18 교체 |
영국 해군 |
60 |
FY 12 |
Sea Harrier 교체 |
영국 공군 |
90 |
|
Harrier 교체 |
계 |
3,002 |
|
|
ㅇ 생산 계획(초도)
최종 인도 |
F-35A |
F-35B |
F-35C |
영국 |
계 |
’09. 1/4 |
6 |
|
4 |
|
10 |
’09. 2/4 |
14 |
|
8 |
|
22 |
’10. 1/4 |
20 |
9 |
20 |
5 |
54 |
’11. 1/4 |
30 |
20 |
32 |
9 |
91 |
’12. 1/4 |
44 |
32 |
32 |
12 |
120 |
’13. 1/4 |
72 |
48 |
36 |
12 |
168 |
계 |
186 |
109 |
132 |
38 |
465 |
ㅇ 예상 단가 (’02년 DMS 참조)
구 분 |
공군형 |
해군형 |
해병대형 |
예상단가(만불) |
3,100 |
3,800 |
3,500 |
□ 국제개발 참여국가 및 수준
구 분 |
참여국가 |
투자규모 |
참 여 방 안 |
공동 개발 파트너 |
영국 |
20억$ |
ㅇ 공동개발참여 |
준 파트너 |
덴마크, |
12억$ |
ㅇ 특수기술 및 핵심계획에 제한적참여 |
정보 교류 파트너 |
캐나다, |
2.5억$ |
ㅇ 개발정보 획득 및 이용 |
주요 FMS 참가국 |
터키, |
미상 |
ㅇ FMS 구매국가로 참여 |
□ 향후계획
ㅇ 07 : 실전 배치
ㅇ JSF 예상소요 : 약 3,002대(2,000억$)
- 미 국 : 2,852대 (1,763/공군, 480/해군, 609/해병대)
- 영 국 : 150대(90/공군, 60/해군)
※ 타 국가 판매 예상대수 : 3,000대 수준
□ 참고사항
ㅇ 미 우방국을 포함, 미국 3군의 작전요구와 가용예산을 통합 운영하여 개발비용 및 유지비용 최소화, 지원성을 극대화 하였고
ㅇ 성능면에서는 최신무기체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치명성을 증대하였고, 스텔스 개념 등을 적용하여 생존성을 향상시켰음
ㅇ F-15를 대신할 F-22는 공대공을 주임무로 하고, F-16과 F/A-18 등을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되는 JSF는 공대지를 주임무로 하여 2010년 전력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다목적용으로도 개발을 계속하고 있음
□ 형 상

'병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도란 무엇인가? (0) | 2009.09.05 |
---|---|
한국형 기동헬기(KUH)인 '수리온' !!! (0) | 2009.08.01 |
정찰 및 통신중계 수행할 무인헬기!!! (0) | 2009.06.11 |
1인용 ‘스텔스 글라이더’ 獨서 개발 (0) | 2008.05.03 |
군사용어 중 약어 (0) | 2007.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