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식

콩과 땅콩!!!

태권 한 2009. 8. 26. 13:26

 

콩과 땅콩!!!

 

 

콩이란?

 

콩은 밭에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 곡식으로, 전체가 갈색의 털로 덮여 있고 열매는 서너 개의 씨앗이 들어 있는 꼬투리 열매이며 9월에 여뭅니다. 중국, 우리 나라, 일본에서 오래 전부터 재배되어 왔고, 근세에 이르러서야 동남아시아, 유럽, 미국 등지로 전파되었습니다. 현재 콩을 가장 많이 키우는 나라는 미국으로 전세계 생산량의 58%를 차지합니다. 콩의 주성분은 단백질 38∼40%, 지방16∼20%, 탄수화물 7%로,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 할 만큼 영양이 풍부합니다. 특히 탄수화물, 회분, 칼슘 등은 쇠고기보다 훨씬 많이 들어 있습니다.

 

 

 

  
♠ 콩의 유래

 

만주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북동부 지역이 원산지입니다. 중국의 신농시대 (기원전 2838년경)에 처음으로 작물로 기록되었고 기원전 11∼7세기 무렵부터 재배되었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한시대부터 재배되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 콩의 이용방법

 

콩의 열매부분은 밥에 놓아 먹고 된장, 간장, 두부, 콩기름, 두유 등의 원료로 쓰입니다. 콩의 꼬투리가 완전히 자라기 전에 줄기채 뽑아서 불에 구워 먹기도 합니다. 또한 콩뿌리에만 있는 뿌리혹박테리아는 공기중의 질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해주어 땅을 기름지게 합니다. 
 
콩의 종류

 

♠ 용도에 따른 분류

 

● 일반용 : 단백질 함량이 많다. 된장이나 간장을 담는데 쓸이고 두부를 만드는데도 쓰인다. 누런콩
   

● 유지용 : 콩기름을 짜기에 알맞는 콩으로 미국 등지에서 발달하였다.
   

● 밥밑콩 : 알갱이가 크로 영양가도 높아서 밥에 넣어 먹기에 알맞는 콩. 아주카리콩, 검정콩, 밤콩 등
   

● 콩나물콩 : 알갱이가 작으며 황색~담색인것으로 콩나물 수량이 많이 나오는 것. 쥐눈이콩 등
   

● 청예용 : 종실이 잘고 수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잎과 줄기의 생장이 무성하여 가축사료용으로 적합한 것

 
♠ 콩의 크기에 따른 분류

 

콩의 크기에 따라서는 왕콩, 굵은콩, 우렁콩, 중콩, 좀콩, 나물콩 등으로 나눕니다

 
♠ 껍질의 빛깔에 따른 분류

 

● 검정콩 : 밥에 놓아 먹거나 콩자반으로 만듭니다.
   

● 황색콩 : 콩 색깔이 노란색으로 메주 등 장류를 담그는 데 쓰입니다.
   

● 파란콩 : 콩 색깔은 푸른색으로 콩 속도 푸른색을 띄며 주로 밥에 놓아 먹거나 콩고물을 만들기도 합니다.

 


          검정콩                   황색콩 
 

콩의 종류


콩이 잘 자라기 위해서는 따뜻하고 약간 습해야 좋으며 하루의 온도가 12℃ 이상인 일수가 120일 이상 되어야 합니다. 콩을 주로 생산하는 지역은 아시아에서는 북위 30∼44°, 미국에서는 북위 33∼44°에 걸쳐 있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골고루 재배되는데, 전라남도의 생산량이 가장 많습니다.

 
♠ 콩의 형태

 

콩과 꽃과 열매
 
콩나물이란?

 

콩에 광선을 쬐지 않고 발아시킨 것입니다. 콩을 물에 담그어 불린 다음 시루에 볏짚이나 시풋밑을 깔고 그 위에 콩을 담아 어두운 곳에서 고온다습하게 하여 발아시킵니다.

 

 


마르지 않도록 물을 자주 주고 5~7cm 가량 자랐을 때 먹기 시작합니다. 빛깔은 흰색이나 담황색의 것이 좋고 비타민 B1, C 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에도 좋습니다. 요리를 할 때에는 지나치게 가열하지 말고 조금 풋내가 나는 듯한 정도로 하여 먹는 것이 맛과 영양가에 좋습니다.

 

콩나물은 물을 자주 주어야 하기 때문에 부패하기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끔 몸에 해로운 약품을 써서 길러내는 사람들이 있어 TV나 신문에서 사회적문제를 삼는 것을 보았을 것입니다.

 
♠ 빛이 없는 곳에서 식물이 길고 노랗게 자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잎이 노랗게 되는 이유는, 빛이 없는 곳에서는 엽록소가 완전히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소나무의 싹이나 수초와 같은 소수의 식물은 빛이 없어도 엽록소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녹색을 띠고 있습니다.

 

식물이 길게 늘어나는 까닭은 밝은 곳보다 생장소의 양이 많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이것은 물집과도 같아서, 말려서 무게를 달아 보면 같은 시간에 밝은 곳에서 자란 것보다 훨씬 가볍답니다. 잎이 작아지거나 형태가 아주 달라지는 것에 대해선 중요한 단서를 몇 가지 알아내긴 했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 밝혀지지 않았답니다. 이처럼 생물의 신비에 대해 알려진 것은 작은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호남농업시험장에서는 콩나물을 길러내기에 적합한 나물콩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 콩나물 부패를 억제시킬수 있는 콩나물 재배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맛있고 영양가 높은 콩나물을 안심하고 드셔도 되는 것입니다. 

 

땅콩이란?

 

땅콩은 콩과에 속하는 1년생 작물입니다. 줄기의 길이는 보통 30~50㎝ 정도로 다른 콩과 식물과는 다르게 땅속에서 꼬투리를 맺는 특성이 있습니다. 땅콩 씨 속에는 40~50%의 기름과 20~30%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땅콩꽃

 
땅콩유래

 

야생땅콩이 많은 브라질에서 재배하기 시작하여 북쪽으로 전해졌는데 미국은 1600년대, 중국은 1800년대, 일본은 1874년경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 나라도 아주 오래 전부터 재배해 온 것으로 보입니다.

 

땅콩은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나 온대지방의 따뜻한 지역에서도 재배되고 있습니다. 재배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25~27℃이고 우리 나라에서는 재배기간이 5~6개월로 긴 편이므로 4월중에 씨를 다 뿌려야 합니다.

 

자라는 동안에는 적어도 250~300㎜ 정도의 비가 와야 하며 물이 잘 빠지는 모래땅 또는 사질양토에서 재배가 잘됩니다. 땅콩은 특히 비료 성분 가운데 석회분이 많아야 껍질과 알이 잘 만들어집니다. 땅콩은 표고 700m 고지에서까지 재배되므로 세계적으로 재배범위가 아주 넓은 작물에 속합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1990년에는 1만 2,000헥타르까지 재배되었으나 1998년에는 7,000헥타르에서 1만 4,000톤 정도가 생산되었습니다.

 


땅콩이용방법

 

땅콩은 영양가가 높고 맛이 좋기 때문에 주로 볶아서 먹으며 버터를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땅콩기름은 식용뿐만 아니라 마가린이나 비누의 원료가 되기도 하고, 윤활유나 등불기름 등으로 쓰입니다. 땅콩의 줄기, 잎은 사료로 껍질은 종이 재료로 쓰입니다.

 


                      땅콩                            콩의 재배하는 광경

                                         (비닐로 덮어 잡초가 자라는걸 방지한다)

'간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란 요리!!!  (0) 2009.10.21
면역력을 높여 주는 호박 콩 범벅!!!   (0) 2009.09.17
속풀이에 좋은 콩나물해장국!!!  (0) 2009.06.27
오트밀레이진쿠키 씹는 맛이 달라!!!  (0) 2009.06.19
환상의 고구마 변신!!!  (0) 2009.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