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러글라이딩

정규 교육 과정(para 01 + para 02 통합교육과정)

태권 한 2011. 7. 25. 15:59

정규 교육 과정 - para 01 + para 02 통합교육과정

  - 대  상
   
패러글라이딩을 처음부터 기초를 튼튼히 배워 정식으로 입문하고 싶으신 남녀 노소 누구나
    
맛보기 입문과정을 이수하고 정식으로 배우시고 싶으신  분
    오래 전에 패러글라이딩을 한 두 번 해 본적이 있지만
다시 시작하고 싶으신 분
    다른 스쿨에서 para01과정을 수료하신 분
    클럽에서 활동하다가 제대로 입문하여 교육을 받고 싶으신 분


 
 - 교육 기간 : 10 일
  (평일, 주말, 언제나 본인이 희망하는 날짜에 6개월 에 교육을 받을실 수 있습니다)

 - 교육비 : 66 만원
                 35 만원 (맛보기 입문과정 이수후 정규과정 입문자 )

  -준비물
   
 
발목을 보호할 수 있는 패러전용 신발 또는 발목보호신발 , 긴 바지, 긴팔 상의, 장갑     

 
- 교육 내용
  
  
이론교육 + 시청각, 
    동영상 교육 + 모의 조종장치 교육 + 2인승 비행 교육 +
평균 30~35회 비행

  - 발급 신청이 가능한 자격증(license)
     한국 활공협회 자격증 -  para pro 2
     국민 생활체육 패러글라이딩 연합회 자격증 - 연습 조종사(training pilot)

 
 - 스카이 패러글라이딩 학교는 " 현대해상 화재보험에 스쿨단체보험"에 가입되어 있어
     보다 안전하게 교육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보는 교육 내용


1일차 : 이론교육


         
1일차 : 지상교육


 
1~3일차 : 이, 착륙 연습비행


3일차 : 2 인승 교육 비행


3~4일차 : 단독 비행 


 5~10일차 : 수 십회  단독비행

 세부적인 교육 동영상 내용

 1.모의 조종장치를 이용한 조종교육 동영상     

 2.비행전 준비물 교육 동영상

 3.하네스 착용 요령 교육 동영상        

 4.지상연습시 지상주행 교육 동영상

 5.연습 및 비행후 산줄 정리 교육 동영상    

 6.날개가 기울어졌을 때 대처요령 교육 동영상

 7.날개를 끌어 올리는 적절한 속도 교육 동영상

 8.올바른 이륙방법 교육 동영상(1))

 9.올바른 이륙방법 교육 동영상(2)           

10.이륙후 하네스에 앉는 시점 동영상교육

11.방향전환 교육 및 회전 교육 동영상      

12.이륙시 적절한 견제의 중요성 동영상

13.올바른 착륙 교육 동영상              

14.연습, 착륙후 뒷처리 동영상

15.강한바람에서 이륙방법 교육동영상 16.이륙시 기체가 가라 앉을 때 교육 동영상
17.날개가 올바르게 올라오지 않는 동영상 18.한쪽 날개가 접혔을 때 대처 동영상
19.귀접기(big ears) 교육 동영상 20.불안전한 착륙 교육 동영상
21.올바른 착륙 동영상(flaring방법) 22.날개가 기울어져 올라 올때 이륙교육 동영상

 세부적인 이론, 실습 내용


 
1.이론, 시청각, 동영상 교육    
   1)
패러글라이더(paraglider) 의 구성 요소 3가지  
       
- 날개, 산줄, 라이저 및 하네스

   2)
패러글라이더(paraglider) 장비의 각 부분의  역할

   3)
날개(canophy)의 구조 및 명칭
     
  날개 앞전, 뒷전, 셀(cell), v rib, 날개보(rib), 안정판

   4) 하네스(harness), 산줄(suspension lines), 제동 줄(brake lines ; control lines)의 역할

   5)
하네스(harness) 의 다양한 기능
     
   - 충격 완충작용, 보조산 주머니 역할, 공기 흐름의 유선형 역할
        -  하네스의 종류(일반 하네스, 에어하네스,선수용 하네스)

   6) 패러전용 신발의 중요성

   7) 하네스(harness) 착용 요령

   8)
지상 연습시 올바르게 라이저(riser) 잡는 요령 및 조종줄 잡는 요령
       - 라이저의 구성(A, B,C,D)
       - 이륙전 확인해야 할 사항 5가지

   9) 맞 바람(정풍 ; head wind), 뒷 바람(배풍 ; back wind)의 의미와 중요성

 10)
방향 전환 요령
  
     - 방향 전환시 올바른 시선                 - 방향 전환시 체중이동 요령
       - 방향 전환시 조종줄 당기는 요령      - 360도 회전 요령

 11) 하네스 착용 요령 동영상 교육
       - 하네스 체결점 점검요령

 12) 지상 연습시  자세 동영상 교육
       - 상체의 적당한 위치                      - 양손의 위치 확인
       - 시선의 위치 확인

 13) 지상 연습후 기체를 어깨에 메고 이동하는 요령 동영상 교육
      - 조종줄 손잡이 고정 유뮤 확인

 14) 기체가 한쪽으로 기울어졌을 때 올바르게 수정하는 동영상 교육
       - 라이저(riser)의 힘의 방향 느끼기

 15) 지상 연습시 날개가 올라올 때 적절한 주행 속도 동영상 교육
       - 바람 세기에 따라 속도 조절 요령

 16) 올바른 이륙 동영상 교육
       - 라이저 놓는 시점, 견제량, 달리는 속도, 몸의 전체적인 유연성 확인 

 17) 적절한 견제를 통한 이륙시 여유있게 이륙하기 동영상 교육
       - 충분한 연습을 통해 몸으로 익히기 확인

 18) 이륙후 하네스에 앉는 시점 동영상 교육
 
      - 기체를 안정시키고 앉는 요령

 19) 착륙시 하네스에서 일어난 상태로 착륙하는 동영상 교육
 
      - 맞바람 상태에서 고도 처리후 하네스에서 일어나기
       - 조종줄을 당기면서 상체를 빼는 요령

 
20) 착륙 후 올바르게 날개를 뒷 처리 하는 동영상 교육
       -두발 착지 후 전방으로 달리면서 날개를 뒤로 내리기

 

 2.모의 조종장치(simulation) 교육                                               
   1)
하네스(harness)에 라이저(riser)을 올바르게 연결하기 연습
      -  라이저 앞, 뒤를 구분하여 연결하는지 확인
      - 라이저를 반바퀴 또는 한 바퀴 꼬인 상태로 연갈하는지 확인

   2) 하네스(harness)를 올바르게 착용 연습   
 
     - 어깨 끈(belt) -> 다리 끈(belt) -> 가슴 끈(belt) 순으로 체결 연습
      - 체결 부분 이탈 여부 확인

   3) 하네스 다리 끈(belt)의 중요성
    
  - 다리 끈을 미체결시 위험성 교육

   4) 다리 끈, 가슴 끈(belt)의 길이 조절
      - 체결 후 움직임 편하도록 체결하는지 확인

   5) 올바른 하네스(harness) 장착 요령 실습
 
     - 보조산의 위치 확인 교육
      - 발걸이, 가속장치의 역할

   6)
지상 연습시 양손의 조종줄과 라이저(riser) 올바르게 잡는 연습
   
  - 라이저를 팔 안족으로 넣고 조종줄을 잡는 지 확인

   7) 이륙 후 하네스(harness)에 앉는 요령 실습
   
   - 발걸이를 이용하는 방법                          - 조종줄을 잡거나 놓고 앉는 방법

   8) 비행 중 양손의 위치(양손의 만세 자세 위치 연습)
    
  - 팔에 너무 힘이 들어간는지, 앙팔은 적당히 벌린 상태인지 확인

   9) 비행 중 양 손 조종줄의 조종감 익히기 
  
    - 브레이크 줄(조종줄)의 적당한 힘을 느끼는 위치 교육

 10) 모의 조종장치를 통한 방향전환 연습
  
   - 적절한 조종량 사용 지점 교육                   - 과조작의 위험성 재 교육
     - 방향 전환시 시선과 체중이동 요령 교육

 11) 모의 조종장치를 통한 체중이동 연습
  
    - 엉덩부 분을 통한 체중 이동 요령 습득       - 상체를 너무 많이 이동하는지 관찰

 12) 모의 조종장치를 통한 시선, 방향전환, 체중이동 연습
     
 - 방향 전환시 시선 먼저, 체중이동, 방환전환 동시에 하는지 확인

 13) 모의 조종장치를 통한 견제(牽制) 요령 실습  
   
   - 날개의 흔 들거림에 따라 견제위치 교육

 14) 모의 조종장치를 통한 착륙시 하네스(harness)에서 일어나는 연습
      - 하네스에서 1/2, 완전히 일어나는 요령 습득

 15) 착륙시 제동(brake)요령 (만세, 어깨, 가슴, 허리, 차렷)
       - 제동 요령 반복 훈련으로 적절한 조종을 하도록 한다
 

 3. 지상 연습
   1) 하네스(harness)에 올바르게 날개 라이저(riser) 연결하는 방법 실습

   2)
기체를 올바르게 세우고, 라이저(riser)놓는 시점 익히기
        
- 반복연습을 통해 스스로 라이저(riser)놓는 시점을 익히도록 한다
        
- 라이저 놓는 시점이 너무 늦는 경우 기체가 앞으로 쏟아질 수 있다    

    3) 
라이저(riser)를 놓고 상체를 숙이고, 견제를 하는 요령
        - 기체를 하지 않았을 경우 날개 전체 또는 한쪽 날개가 접혀 올 수있다

    4) 
지상 주행시 조종줄의 줄의 힘(tension)을 느끼는 요령    

    5) 
날개(wing)가 기울어 졌을 때  올바르게 수정하는 요령 익히기
        - 주행자세에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달려가 수정하기
        - 기울어진 상태를 수정하고 양손의 위치가 적절한지 확인
        - 기울어진 상태가 심하면 수정하기 보다는 다시하기

    6) 날개가 기울어 졌을 때 라이저(riser)의 방향으로 기울어 짐을 알고 수정하기
       - 라이저(riser)의 기울어짐과 당겨지는 힘의 크기를 느낀다.

    7) 지상 연습 후 올바르게 날개를 내리는 요령 익히기
       - 기체가 앞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반복 연습한다.
       - 기체가 뒤로 쏟아지로고 100% 브레이크를 당간상태에서 180도 회전하고 뒤로 물러난다.

    8) 지상연습 후 조종줄을 라이저에 부착하고, 날개가 땅에 닿지 않게  어깨에 메는요령
       
- 조종줄(브레이크 줄) 손잡이(toggle)를 D 라이저(riser)고정장치에 부착하는지 확인한다.

    9) 지상 주행시 양손 브레이크 줄을 이용하여 주행하면서 속도를 조절하는 요령
       - 바람의 세기, 내가 달려가는 속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 브레이크를 이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10)
지상 주행시 좌우, 조종줄을 이용하여 조종하는 요령
       - 전방으로 달려갈 때 앞에 장애물이 있을 때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조종하도록 한다. 

  11)
지상 주행시 너무 만세를 하고 달렸을 때 기체가 앞으로 쏟아지는 이유 습득
 
      - 양손에 브레이크 줄을 이용하여 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 기체가 앞으로 쏟아질 때 라이저(riser) 및 산줄에 걸리는 힘의 상태를 알려 준다
  

  12) 지상 주행시 양손 브레이크 줄은 너무 많이 당겼을 때 기체가 내려가는 이유 습득
 
     - 라이저(riser)가 뒤로 당겨지는 느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13) 지상 주행시 달려가지 않았을 때 한쪽 날개나, 날개 앞전 접힘이 생기는 이유 습득
      - 접힘이 발생하는 라이저, 산줄의 헐렁감을 알 수 있도록 한다.

  14) 지상 주행하면서 날개의 올바른 상태를 고개 들어 확인하기
      - 충분한 견제를 한 상태에 확인 하도록 한다.
      - 확인후 견제양을 서서히 풀면서 달려가도록 한다

  15) 지상 연습을 통해 날개의 균형을 유지하는 연습 반복 연습 숙달
 
      - 지상연습의 교육목표가 잘 되고 있는지 전반적으로 확인한다
       - 기체를 올바르게 세운상태에서 50-100미터 이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16)
착륙장에서 착륙 모습을 통한 착륙 요령 익히기
       - 실제 착륙장에서 다른 사람의 착륙하는 모습을 통해 착륙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 다른 사람의 착륙하는 모습을 통해 적절하게 브레이크 양을 사용하는지 알려준다
       - 다른 사람의 착륙하는 모습을 통해 고도처리 구간을 알려준다.
       - 다른 사람의 착륙 모습을 통해 지착륙장 진입구간을 알려준다
       - 착륙시 풍향계(windsock)의 위치와 바람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4. 2인승 비행 교육
    1) 이륙장에서 이륙하는 모습을 통해 이륙자세 익히기
         - 이륙장에서 다른 사람들의 이륙모습을 통해 올바른 방법을 알려준다
         - 이륙장에서 라이저 놓고 달려가는 모습을 통해 올바른 자세를 알려준다.
         - 이륙장에서 이륙을 한 후 조종줄을 놓는 앉는 방법을 설명하여 준다.
         - 이륙장에서 다른 사람의 모습을  통해 이륙실패 원인을 알려준다

     2) 이륙장에서 이륙모습을 통한 이륙자세 확인 하기
         - 초보자, 중,고자들의 이륙모습을 통해 정확한 이륙자세를 알려준다.

     3)
2인승 비행을 통한 하네스(harness)에 앉는 자세 익히기
         - 실제 2인승 비행을 통해 하네스에 앉는 자세를 익힌다.

     4) 2인승 비행을 통한 비행시 자세 익히기
        - 실제 2인승 비행을 통해 평소 비행시 만세 자세의 위치를 알려 주고 익힌다.

     5)
2인승 비행을 통한 비행 중 만세 자세 익히기
        - 실제 2인승 비행을 통해 만세시 산줄의 상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도록 한다
        - 실제 2인승 비행을 통해 만세시 브레이크에 걸리는 힘(장력,tension)을 느끼도록 한다.

     6) 2인승 비행을 통한 방향 전환 연습하기
        - 실제 2인승 비행을 통해  교관의 지도에 따라 방향 전환을 실시한다.

     7) 2인승 비행을 통해 기체가 흔들거릴 때 이를 균형 잡는 요령 익히기
    
    - 기체가 흔들거릴 때 양손 조종줄의 견제량으로 균향 잡는 방법을 알려준다

     8) 첫 단독 비행에 앞서 2인승 비행을 통해 비행자의 무서움, 자신감 확인하기
   
     - 10-30여분의 2인승 비행을 통해 비행자의 심적인 상태를 파악하고 확인한다.

     9) 2인승 비행을 통해 착륙시 착륙지점 익히기
    
    - 2인승 비행 통해 착륙시 착륙 진입구역의 위치를 확인하여 준다
        - 착륙 진입 구역에 왔을 때 고도가 높을 때 고도처리 방법을 알려준다.

   10) 2인승 비행을 통해 비행중 풍향계(windsock)를 통한 바람방향 확인하기
        - 고도 처리구간에서 풍향계를 보고 바람의 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한다.

   11) 2인승 비행을 통해 적당한 착륙 진입 고도  확인하기
     
   - 고도 처리후 착륙 진입시 알맞는 고도를 알려준다.

   12) 2인승 비행을 통해 착륙시 적절히 브레이크양 사용하기 익히기
    
    - 착륙진입 후 적절한 고도에 따라 올바르게 브레이크 사용하도록 알려준다.  

  5. 단독 비행 교육

      지상교육 또는 이,착륙 교육, 2인승 비행을 통해 배운 것을 토대로 첫 단독비행 및
      십 수회의 단독비행을 통해 스스로 혼자 할 수 능력을 함양시킨다
      
1) 륙전 하네스 착용 후 점검사항 등을 점검을 한다.
      
    - 다리 끈, 가슴 끈 등 안전 점검을 한다

      2) 이륙전 다음 사항을 다시 점검을 하다.
        
  - 무전기의 전원이 켜져있는지, 무전기 소리의 크기가 적당한 지 확인한다.
          - 이륙 전에 신발 끈이나  하네스 체결 상태 여부를 확인한다
           - 조종줄과 라이저(riser)를 제대로 잡았는지 확인한다.
          - 날개의 중심에 서 있는지 확인한다.           
       

       
3) 이륙전 다음 사항을 마음으로 점검을 한다
          - 연습시 배운 것 처럼 날개가 올라오면 라이저(riser)를 놓고 상체를 숙이고 견제를 한다
          - 견제를 한 상태에서 날개가 나를 들어 이륙을 시킬 때까지 일정 속도로 달려간다.
          - 이륙후 하네스에 앉는 요령을 마음속으로 확인한다.


      
 4) 교관의 지도에 따라 전방 이륙을 한다.
        
  - 무전기의 유도에 따라 비행을 한다

      
 5) 첫 단독 비행부터 - 30여회 비행까지의 교육의 목표
         - 실전 활공장에서 전방이륙을 통해 라이저(riser) 놓고 견제하고 달려 어느정도 숙련된
            자세가 나오도록 한다.
          - 이륙시 날개가 들어주는 느낌이 있더라도 주저 앉지 않고 일정속도로 이륙하는 방법을
             익힌다

          - 이륙을 하여 하네스에 앉을 때 서두르지 않고 침착하게 앉는 방법을 익힌다.
          - 내가 날고 있는 기체의 조종성을 파악하고, 적정량으로 조종을 하는 방법을 익힌다
          - 비행시 사주 경계 요령을 익힌다.

          - 방향 전환시 체중이동과 조종요령을 익힌다.
          - 방향 전환시 시선을 먼저 가고자하는 방향으로 맞추어 다른 기체와 다른 비행물체를
             확인한다

          - 360도 선회시 선회 방법을 익힌다.
          - 산 사면을 따라 갈 때 방향 전환시 항상 착륙장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되도록 숙련한다.
          - 착륙장 상공으로 날아 올 때 착륙장의 풍향계(windsock)를 확인하는 습관을 갖는다

          - 풍향계를 보고 착륙시 고도처리 하는 구간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고도 처리시 U자형 착륙방법으로 착륙하는 방법을 익힌다.
          - 고도 처리시 8자 비행을 통해 고도를 처리 하는 방법을 익힌다.
          - 고도 처리 구간에서 적정한 고도로 진입하는 방법을 익힌다.
          - 고도 처리 후 진입시 고도가 약간 높을 시 처리하는 방법을 익힌다.

          - 고도 처리후 적당한 고도에서 브레이크을 이용하여 부드럽게 착륙하는 방법을 익힌다.
          - 착륙시 두 발로 착륙을 할 수 있도록 엉덩이가 하네스에서 일어나는 연습을 한다.
          - 하네스에서 일어난 상태(상체도 앞으로, 엉덩이도 하네스에서 나온 상태)를 연습한다
          - 착륙시 고도 1-2미터 브레이크 양이 사뿐히 착륙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사용을 익힌다

      
 6)  비행중 비상 낙하산의 손잡이 위치 확인 및 던지는 연습 마음으로 진행하기

       7) 활공장별 착륙 요령
           - 용인 정광산 활공장      - 양평 유명산 활공장   - 평창 해피 700 활공장
           - 문경 활공장                 - 단양 두산 활공장      - 단양 양방산 활공장

        - 첫 단독 비행 동영상 보기                   - 정규 교육과정 수료 동영상

'페러글라이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력 패러글라이딩 입문!!!  (0) 2011.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