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러글라이딩

동력 패러글라이딩 입문!!!

태권 한 2011. 7. 25. 16:00

 

동력 패러글라이딩 입문과정

  - 대  상
    동력 패러글라이딩 교육을 희망하시는 분
    
정규 교육과정의 기초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동력패러글라이딩을 배우시고 싶으신 분
    클럽 회원중 동력패러글라이딩을 이수하고 싶으신 분
    입문시 무동력, 동력패러글라이딩을 배우시고 싶으신 분

  - 교육비
    
무동력 + 동력 교육시 : 100만원
    동력만 교육시 : 60만원
    스카이 패러 학교 평생 회원 : 무료교육


 
 
- 교육 기간  : 8 - 10일

  - 교육 일자 :   평일, 주말 언제나 교육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교육 목표 :  이론교육, 무동력 패러글라이딩 비행 (10회 이상), 동력 패러글라이딩 비행 5회 이상

  - 교육 장소 :
     패러글라이딩 교육 : 남양주 활공장,  용인 정광산 활공장, 상주 활공장, 평창 활공장
     동력패러글라이딩 교육 : 용인, 이천, 여주, 어섬, 월곶 동력 활공장

  
- 발급 신청이 가능한 자격증(license)
      동력패러글라이딩 자격증은 국가 자격증으로 20시간 이상 비행 후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한국 활공협회 자격증 - para pro 1, 2
      국민생활체육 전국 패러글라이딩 연합회 - 연습 조종사

   - 준비물
  
   동력 패러, 패러글라이더, 발목이 보호되는 신발     
                 
  - 교육 내용
     패러글라이딩 기초교육, 동력 패러글라이딩 교육


동력 점검 교육


날개 적응 교육


동력 적응 교육


동력 이,착륙 연습비행


동력,날개 적응비행


장거리 비행

 세부적인 교육 동영상 내용

 1.모의 조종장치를 이용한 조종교육 동영상       

 2.비행전 준비물 교육 동영상

 3.하네스 착용 요령 교육 동영상            

 4.지상연습시 지상주행 교육 동영상

 5.연습 및 비행후 산줄 정리 교육 동영상       

 6.날개가 기울어졌을 때 대처 요령 교육 동영상

 7.날개를 끌어 올리는 적절한 속도 교육 동영상  

 8.올바른 이륙방법 교육 동영상(1))

 9.올바른 이륙방법 교육 동영상(2)          

10.이륙후 하네스에 앉는 시점 동영상교육

11.방향전환 교육 및 회전 교육 동영상    

12.이륙시 적절한 견제의 중요성 동영상

13.올바른 착륙 교육 동영상       

14.연습, 착륙후 뒷처리 동영상

세부적인 이론, 실습 내용

1.이론, 시청각, 동영상 교육    
   1) 패러글라이더(paraglider) 의 구성 요소 3가지  
   2)
패러글라이더(paraglider) 장비의 각 부분의  역할
   3)
날개(canophy)의 구조 및 명칭
   4)
하네스(harness), 산줄(suspension lines), 제동 줄(brake lines ; control lines)의 역할
   5) 하네스(harness) 의 다양한 기능
   6)
패러전용 신발의 중요성
   7) 하네스(harness) 착용 요령
   8)
지상 연습시 올바르게 라이저(riser) 잡는 요령 및 조종줄 잡는 요령
   9) 맞바람(정풍 ; head wind), 뒷바람(배풍 ; back wind)의 의미와 중요성

 10)
방향 전환 요령
 11)
하네스 착용 요령 동영상 교육
 12) 지상 연습시  자세 동영상 교육
 13) 지상 연습후 기체를 어깨에 메고 이동하는 요령 동영상 교육
 14) 기체가 한쪽으로 기울어졌을 때 올바르게 수정하는 동영상 교육
 15) 지상 연습시 날개가 올라올 때 적절한 주행 속도 동영상 교육
 16) 올바른 이륙 동영상 교육
 17) 적절한 견제를 통한 이륙시 여유있게 이륙하기 동영상 교육
 18) 이륙후 하네스에 앉는 시점 동영상 교육
 19)
착륙시 하네스에서 일어난 상태로 착륙하는 동영상 교육
 20)
착륙 후 올바르게 날개를 뒷처리 하는 동영상 교육

 
2.모의 조종장치(simulation) 교육   
   1) 하네스(harness)에 라이저(riser)을 올바르게 연결하기 연습
   2) 하네스(harness)를 올바르게 착용 연습         
   3)
하네스 다리 끈(belt)의 중요성
   4)
가슴 끈(belt)의 길이 조절
   5) 올바른 하네스(harness) 장착 요령 실습
   6)
지상 연습시 양손의 조종줄과 라이저(riser) 올바르게 잡는 연습
   7)
이륙 후 하네스(harness)에 앉는 요령 실습

   8)
비행 중 양손의 위치(양손의 만세 자세 위치 연습)
   9)
비행 중 양 손 조종줄의 조종감 익히기 
  10)
모의 조종장치를 통한 방향전환 연습
  11)
모의 조종장치를 통한 체중이동 연습
  12)
모의 조종장치를 통한 시선, 방향전환, 체중이동 연습
  13)
모의 조종장치를 통한 견제(牽制) 요령 실습  
  14)
모의 조종장치를 통한 착륙시 하네스(harness)에서 일어나는 연습
  15) 착륙시 제동(brake)요령 (만세, 어깨, 가슴, 허리, 차렷)

 3.지상 연습
    1) 하네스(harness)에 올바르게 날개 라이저(riser) 연결하는 방법 실습
    2)
기체를 올바르게 세우고, 라이저(riser)놓는 시점 익히기
    3) 
라이저(riser)를 놓고 상체를 숙이고, 견제를 하는 요령
    4) 지상 주행시 조종줄의 줄의 힘(tension)을 느끼는 요령    
    5) 
날개(wing)가 기울어 졌을 때  올바르게 수정하는 요령 익히기
    6) 날개가 기울어 졌을 때 라이저(riser)의 방향으로 기울어 짐을 알고 수정하기
    7) 
지상 연습 후 올바르게 날개를 내리는 요령 익히기   
    8) 
지상 연습 후 조종줄을 라이저(riser)에 부착하고, 날개가 땅에 닿지 않게  어깨에 메는 요령

    9)
지상 주행시 양손 브레이크 줄을 이용하여 주행하면서 속도를 조절하는 요령
   10) 지상 주행시 좌우, 조종줄을 이용하여 조종하는 요령
   11) 지상 주행시 너무 만세를 하고 달렸을 때 기체가 앞으로 쏟아지는 이유 습득
   12) 지상 주행시 양손 브레이크 줄은 너무 많이 당겼을 때 기체가 내려가는 이유 습득
   13)
지상 주행시 달려가지 않았을 때 한쪽 날개나, 날개 앞전 접힘이 생기는 이유 습득
   14) 지상 주행하면서 날개의 올바른 상태를 고개 들어 확인하기
   15) 지상 연습을 통해 날개의 균형을 유지하는 연습 반복 연습 숙달
   16)
착륙장에서 착륙 모습을 통한 착륙 요령 익히기
  
 4.2인승 비행 교육
    1) 이륙장에서 이륙하는 모습을 통해 이륙자세 익히기  
    2)
이륙장에서 이륙모습을 통한 이륙자세 확인 하기
    3) 2인승 비행을 통한 하네스(harness)에 앉는 자세 익히기
    4) 2인승 비행을 통한 비행시 자세 익히기
    5)
2인승 비행을 통한 비행 중 만세 자세 익히기
    6) 2인승 비행을 통한 방향 전환 연습하기

    7) 2인승 비행을 통해 기체가 흔들거릴 때 이를 균형 잡는 요령 익히기
    8) 첫 단독 비행에 앞서 2인승 비행을 통해 비행자의 무서움, 자신감 확인하기
    9) 2인승 비행을 통해 착륙시 착륙지점 익히기    
  10)
2인승 비행을 통해 비행중 풍향계(windsock)를 통한 바람방향 확인하기
  11) 2인승 비행을 통해 적당한 착륙 진입 고도  확인하기
  12)
2인승 비행을 통해 착륙시 적절히 브레이크양 사용하기 익히기
  
 5. 단독 비행
    상기 내용을  반복 숙달에 의해 익힌 다음 비행자와 교관이 판단하여 첫 비행자에게 무전기를
     채우고 첫 단독비행에 하게 됩니다.
     - 무전기를 채우고 단독 비행을 통한  이륙, 비행, 착륙하기
     -
첫 단독 비행 동영상 보기

 6.동력 패러글라이딩 교육
     1) 동력 기관 교육
         - 2 사이클(clcle) 기관(engine)의 원리         - 동력 패러글라이딩의 구성
         -
점화 플러그의 역할 및 특징                     - 동력의 구조 및 각 부분의 명칭,역할
         - 동력에 사용하는 연료 및 윤활유               - 프로펠러의 역할
         - 기관 회전수(rpm)에 따른 프로펠러 깃 각(blade angle)
         -
프로펠러 깃 각과 피치(pitch)                   - 기화기의 원리 및 기능
         - 수동식 기관의 시동요령                          - 자동식 기관의 시동요령
         - 기관 시동시 주의사항                             - 기관 점검

            (1) 비행 전 점검
                 
프로펠러 볼트, 기관 마운트 볼트등 체결 부품의 이완여유 점검
                 동력 연결 벨트 이완 점검
                 
연료 호스등 연료 관에서의 누출 점검
                 
기관의 출력 점검
            (2) 비행 후 점검
                 
비행을 통한 이상 유무 확인 및 수리      비행후 비행전 점검내용 재 점검

     
 2) 동력 비행 교육
           - 동력패러를 메고 기관의 출력점검                        - 동력 패러를 멘 상태에서 이륙 연습
           -
무동력 이륙자세와 동력 이륙자세의 차이점
           -
트라이크(trike)를 통한 동력 패러 출력감각 익히기
           - 해풍에서 이륙자세 반복 연습                              - 착륙사 자세
 
          - 동체 착륙시 위험성과 기관, 프로펠러의 손상         -
동력 비행을 통한 이륙, 착륙 연습
           - 동력 비행 중 풍향계의 바람방향 확인하기             - 동력 비행으로 수평비행 하기
           -
이륙시 출력 조절 및 하네스에 앉는 요령               - 이륙시 안전고도 확보시까지 자세
           - 비행중 주변 장애물 식별 및 안전 비행 고도           - 위험물(호수,강,바다 등) 지역에서의 비행 금지
           -
비행후 동력 패러 이송요령                                  - 장시간 비행을 하지 않을 때 저장 요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