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제품

한국형 스마트폰 이번주 베일 벗는다!!!

태권 한 2010. 5. 25. 09:03

한국형 스마트폰 이번주 베일 벗는다!!!

 

삼성·LG전자의 '아이폰 대항마'인 스마트폰이 잇따라 선보인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쓰기 쉬우면서도 첨단 기능이 장착된 '한국형 스마트폰'을 통해 상대적으로 열세를 보이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

24일 삼성전자는 독자 모바일 플랫폼인 '바다'를 탑재한 스마트폰 '웨이브'(GT-S8500)를 이번 주부터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 유럽시장에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이미 지난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 공개돼 호평을 받았다.

웨이브의 가장 큰 특징은 삼성전자의 독자 플랫폼 '바다'를 탑재한 것. 플랫폼은 운용체제(OS)와 유사한 개념이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는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휴대전화 사용자도 쉽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웨이브는 이메일과 메신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등의 정보를 통합 관리, 사용할 수 있는 통합 메시징 서비스인 '소셜 허브'를 탑재하면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극대화했다. 여기에 3.3인치 '슈퍼 아몰레드'에 삼성전자의 TV 화질 기술을 휴대전화에 최적화한 'mDNIe' 기능까지 합쳐지면서 선명하고 생생한 화질을 자랑한다.

삼성전자는 웨이브 출시와 함께 독자적인 애플리케이션(응용소프트웨어) 마켓인 '삼성앱스'를 세계 80여개국, 100여개 사업자에게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LG전자도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한 야심작 '옵티머스Q'(LG-LU2300)를 통합LG텔레콤을 통해 이번 주말 출시한다. 옵티머스Q는 최고 사양과 쉬운 사용자환경, 국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애플리케이션 사전 탑재 등으로 '한국형 스마트폰'을 지향한다.

옵티머스Q는 먼저 1기가헤르츠(㎓) 처리 속도의 퀄컴 스냅드래건 프로세서를 장착했으며 PC와 스마트폰 간 연락처와 사진, 문서, 음악 등을 무선인터넷으로 교환하는 'LG 에어싱크' 기능을 지원한다.

또 3.5인치 고화질 액정표시장치(LCD)와 500만화소 카메라, 지상파 DMB 등이 적용됐다.

특히 옵티머스Q는 처음으로 스마트폰을 접한 사용자들이 간단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LG전자가 자체 개발한 사용자환경(UI)을 적용했고, 바탕 화면에는 구글 및 네이버 검색창을 배치했다.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인 스캔서치와 다음 지도 등 100여종의 애플리케이션도 미리 탑재했다. 이 밖에 일반 PC 자판과 유사한 쿼티 자판과 트랙볼, 4방향 내비게이션 키를 장착하고 최대 3기가바이트(GB) 내장메모리로 3000여개 정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