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35
제작국가 | 러시아 |
---|---|
제작·판매 | 수호이 (Sukhoi) |
구분 | 작전기 |
1. 개발배경
Su-27의 현대화 필요성에 따라 Su-27M(T-10M)이라는 성능향상 모델을 개발했는데, 이것이 바로 Su-35이다. Su-35는 정밀 유도무기를 사용한 지상공격능력을 보유한 본격적인 다목적 전투기로, 1988년 6월 28일에 1호기가 첫 비행을 했다. Su-35는 10대 정도의 테스트기가 제작되었으며, Su-37로 불리는 Su-35BM 모델이 비행을 하기도 했으나, 최종적으로 Su-35S가 러시아 공군에 납품되면서 생산표준이 되었다.
2. 특징
Su-35는 슈퍼크루즈가 가능한 러시아 최초의 양산 전투기이다. 파워업한 AL-35F(AL-31FM) 엔진을 탑재했으며, 공중급유 프로브와 통합 연료탱크를 장착했다. 구조도 경량화를 위해 일부에 알루미늄-티타늄 합금을 사용하고, 복합재료의 사용량을 늘렸다.
항전장비는 러시아 기체로서는 최고 수준으로 업그레이드했다. 주크-27 펄스도플러 레이더를 채용하여 15개 표적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으며, 그 중에 미사일 6개를 동시에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후방의 테일콘에 패조트론 N-012 레이더를 장착하여 적기의 미사일 발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글래스 콕핏을 채용하여 다기능 LCD 디스플레이 적용했으며, HOTAS 조종간을 채용하여 전반적으로 현대화했다. 플라이-바이-와이어 시스템도 종전의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개량했다. 하드포인트의 수는 총 12개소이다.
1996년 4월 2일에 첫 비행을 한 Su-37은 Su-35에 추력변향 노즐을 추가한 기종으로 일반적인 전투기와는 차원이 다른 기동성을 지니고 있다. Su-37은 1996년 서울 에어쇼에서 공개되어 큰 반응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러시아 공군은 채택하고 있지 않으나 인도에 공급하는 Su-30K의 일부 기체에 추력변향 노즐을 장착할 예정이다.
3. 운용현황
러시아 공군은 최초 물량으로 48대를 주문하여 2010년부터 Su-35S를 운용 중이다. 2011년 1월에는 2대를 추가하여 50대를 2015년까지 러시아 공군이 인수할 계획이다.
4. 변형 및 파생기종
Su-27M/Su-35 | 기본형. 최초에는 Su-27M으로 알려진 Su-27의 현대화 모델. |
---|---|
Su-35UB | Su-35의 복좌형. 수직미익을 확장했으며, 전방 동체는 Su-30과 유사하다. |
Su-35BM | Su-35의 업그레이드 모델. 항전장비를 현대화하고 기골을 강화했다. |
Su-35S | Su-35BM의 러시아 자국 모델. 러시아 공군의 주문으로 2009년 11월 첫 양산기를 생산하여 2010년 말 인도했으며, 2011년 5월 초도비행을 했다. |
Su-37 플랭커-F | Su-35의 추력편향 모델. Su-27M(Su-35)의 11번째 프로토타입으로 제작되었다. 엔진으로는 추력편향의 AL-31FU 엔진을 장착했다. |
5. 제원정보
기종 | Su-35 |
---|---|
형식 | 쌍발 터보팬 다목적 전투기 |
전폭 | 15.30m |
전장 | 21.90m |
전고 | 5.90m |
주익면적 | 62.04㎡ |
자체중량 | 18,400kg |
최대이륙중량 | 25,300kg |
엔진 | AL-31F1 추력편향 터보팬(31,900파운드) × 2 |
최대속도 | 마하 2.25 |
실용상승한도 | 59,100피트 |
최대항속거리 | 3,600km |
무장 | 30mm GSh-30 기관포 1문 |
항전장비 | AESA 레이더 |
승무원 | 1명 |
초도비행 | 1988년 6월 28일 |
관련이미지
'병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SA 대형 무인항공기, 시험 비행 성공 (0) | 2018.06.17 |
---|---|
미국 소화기 교체사업과 한국 방위산업의 대응 2편 (0) | 2018.03.03 |
Su-57 PAK FA (0) | 2018.03.02 |
러시아 국방 "5세대 신형 전투기 Su-57 시리아 파견 사실" 확인 (0) | 2018.03.02 |
역사상 가장 큰 전투기Tu-128 피들러!!! (0) | 2018.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