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쇄유돌근
1. 개요
* 흉쇄유돌근은 두부 및 경부의 굴곡 근육으로 흉골, 쇄골, 그리고 유양돌기에 부착되어져 안면의 제반 질환 및
두통, 현훈, 멀미 등의 자율신경적 증상들을 일으키는 근육으로 특히, 만성적으로 경동맥에 대한 긴장의 전이를
유도하는 근육이다.
2. 해부학적부착
1) 흉골부
- 흉골병의 전연 ~ 유양돌기의 외측면과 후두골 상항상 외측 절반
cf) 흉골근의 연속처럼 보이기도 한다.
2) 쇄골부
- 쇄골내측의 1/3 지점. 쇄골 전면의 상연 ~ 위와 동일
3) 신경 지배
① 제 11 뇌신경(척수 부신경)에서 발생
② 운동신경 섬유는 C2 혹은 C3 신경의 ant. primary division에서 신경총 형성.
감각신경도 마찬가지임.
3. 기능
1) 양쪽 같이 작용시
① 경추 및 두부의 굴곡. 턱이 가슴에 닿게 한다.
② 목의 과신전을 견제 → 편타적 손상에 의해 근염좌가 발생하기 쉽다.
③ 승모근과 함께 말을 하거나 음식을 씹을 때, 머리를 일정한 자세로 안정되게 고정
④ 전(前) 상흉곽을 강하게 거상. 흡기시 중요한 호흡 보조근으로 작용
⑤ 연하 작용에 관여
⑥ 공간 지남력, 무게 인식, 운동 조화에 기여.
2) 한쪽만 작용시
① 안면을 반대쪽으로 회전시키고, 상방을 향하게 한다.
cf) 편측 단축이 심한 경우 사경(wry neck)을 일으킨다.
② 승모근 상부와 함께 경추를 측굴
③ 사각근, 승모근과 함께 작용하여 견갑대축의 경사로 기인된 머리의 경사를 보정하는 작용
4. 통증양상
① 특징 : 목에는 통증을 방사하지 않고 안면 및 두개에 통증을 일으킨다.
② 비전형적 안면 신경통 및 긴장성 두통, 경두통의 진단 근거
③ 자율 신경적 혹은 고유 감각적 요소가 널리 알려져 있음
1) 흉골부
① 흉골부 하단은 흉골의 상부에 통증을 방사
cf) 진성 삼차 신경통은 흉골의 통증을 수반하지 않는다.
② 흉골부 하단의 발통점은 발작성 건해와 연관
③ 흉골부의 중간 부위는 동측의 상악골 부위, 안와 상부 능선, 안와내 깊숙이 통증을 일으키고 혹은 외이도에
방사하기도 하며, 통증의 정도는 심부 통증 양상으로 쑤시는 느낌을 준다.(그림12 참조)
④ 흉골부의 중간 부위 내측연은 음식을 삼키는 동안
인두와 혓바닥에 통증을 방사하고 인후통을 유발한다.(감기시 관찰)
⑤ 흉골부 상단의 발통점은 후두골능 주위와 두정부에 통증을 방사한다.
cf) 골이 흔들리는 듯한 느낌이 함께 존재한다.
⑥ 두피의 경직과 압통을 일으킨다.
⑦ 흉골부의 자율 신경 합병증은 눈, 코와 관련되어진다.
(눈물 분비 과다, 각막의 충혈, 동공의 크기와 안검하수, 시각 장애 등의 증상)
⑧ 시각 장애는 시야의 흐릿함과 빛의 강도가 둔해지는 증상을 일으키고, 비염, 상악동 출혈 등이 발생
⑨ 귀에서 바스락 거리는 소리도 발생 가능
⑩ 이농(Deafness) - 가는 귀가 먹어 간다.
2) 쇄골부
① 중간 부위는 통증을 이마 부위까지, 심할 때는 반대쪽까지 방사
② 상부의 통증은 동측 귀안 깊숙이 방사되며, 귀 뒤 및 뺨과 어금니 통증이 있을 수도 있다.
③ 쇄골 부위의 고유 감각적 합병증 증상(공간지남력 상실, 자세적 현기증, 현훈 호소)
④ 실신 가능성이 있다.(특히, 고개를 돌릴 때)
⑤ 운동 실조(ataxia) - 소뇌성 질환과 감별(동공)
⑥ 국소적 발한, 혈관 수축(창백해진다.)
증상
① 견갑거근, 경추 후부 근육들 및 승모근에 있는 활동성에 의해 기인되고 뻣뻣한 목의 증상(stiff neck syndrome)의
한 요소
② 근육의 산통을 호소 → 임파선증으로 오진 가능
③ 긴장성 두통, 이마의 발한, 결막의 발적, 과다한 눈물 분비, 비염, 흐릿하거나 둘로 보이는 시야, 안검하수 등
cf) 동공의 반응은 정상
④ 목의 ROM의 제한은 드물고, 동작의 제한은 목의 회전, 굴곡, 신전의 최종 부분에서 약간의 제한을
일으킨다.(*R.O.M.=Range of Motion 운동 범위)
5. 원인과 활성화요인
① 높은 베개(단축 유도)
② 역학적 스트레스 ㉠ 과부하(머리를 들고 높이 쳐다보는 일 등)
㉡ 자동차 사고, 운동 경기(레슬링, 씨름)
㉢ 보상적인 목의 자세가 요구되며, 견관절의 R.O.M. 제한을
㉣ 하지 길이 불일치, small hemipelvis 등의 구조적 부조화
㉤ 견갑대축의 경사 보정을 위한 과부하
㉥ 역리 호흡, 만성적인 기침
㉦ 끌거나 당기는 것에 의한 동작
㉧ 의복에 의한 목둘레의 조임
③ 숙취 두통
④ 만성 감염 - 부비동염, 치조농루, 단순포진 등
6. 폐색
① 척수부신경이 승모근으로 가는 도중 흉쇄유돌근에서 눌려진다.
② 승모근의 부전마비(paresis)를 일으킬 수 있다.
'운동기능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통을 이기는 운동 (0) | 2008.04.14 |
---|---|
요가 동작 (0) | 2008.03.27 |
경추후부근육들 (0) | 2008.03.22 |
7가지 토닝 운동 (0) | 2007.12.28 |
부위별 웨이트 (가슴) (0) | 2007.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