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전투기 상세 설계 돌입
AESA 기본설계 완료에 이어 항공기 기본설계 완료 / 방사청
❍ 방위사업청(청장 전제국)은 지난 6월 26일부터 28일까지 한국형전투기(KF-X) 체계개발을 위한 기본설계검토(PDR) 회의*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체계 요구조건이 기본설계에 모두 반영되었음을 확인하고 상세설계로의 진행이 가능함을 공식적으로 결론 내렸다.
* PDR(Preliminary Design Review, 기본설계검토): 체계요구조건 및 체계기능요구조건이 기본설계를 충족하는 개발규격으로 모두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고 일정, 비용, 위험범위 내에서 상세설계로 진행이 가능함을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절차
❍ KF-X 체계개발 사업은 2016년 1월에 착수하여, 2016년 3월에 체계요구조건검토(SRR)*를, 2016년 12월에는 체계기능검토(SFR)*를 수행하였다. 사업착수부터 2년 6개월에 이르는 현재까지 풍동시험과 주요계통 모델의 최신화, 분야별 설계와 해석결과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형상을 개선한 결과 소요군의 요구조건이 무기체계 기능으로 반영된 기본설계를 완료했다.
* SRR(System Requirement Review, 체계요구조건검토): 사용자 요구사항이 무기
체계 개발을 위한 체계 요구조건으로 일관성 있고 정확하게 반영됨을 검토
* SFR(System Functional Review, 체계기능검토): 사용자 체계요구조건이 무기
체계 기능요구조건으로 적절히 반영됨을 검토(체계에 대한 기능기준선 설정)
❍ 이번 기본설계검토(PDR) 회의에서는 소요군과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검토위원회를 통해 소요군 요구사항이 KF-X 계통규격서 등 230여종의 기술자료에 적절히 반영되어 있는지 최종 확인하였다.
❍ 현재 KF-X 체계개발은 한국항공(KAI) 주관으로 국내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AESA 레이다와 KF-X 간 체계통합을 위해 AESA 레이다 개발 주관부서인 국방과학연구소(시제업체 : 한화시스템)와 긴밀히 협업하고 있다.
❍ 방위사업청 한국형전투기사업단장(고위공무원 정광선)은 “상세설계 진입여부를 결정하는 기본설계 검토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라며, “철저한 사업관리를 통해서 2019년 9월까지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이상 없이 시제기 제작에 돌입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 KF-X 체계개발 사업은 2021년 상반기에 시제 1호기를 출고할 예정이다. 또한 2022년 하반기에 초도 비행시험을 거쳐 2026년까지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끝>
'병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전투기 'F-35'의 교훈 | 역할 다른 전투기 통일하다 난항..같은 실수 반복해 (0) | 2018.09.13 |
---|---|
6t 화물·병력 48명 싣고 1500km 비행 (0) | 2018.08.08 |
NASA 대형 무인항공기, 시험 비행 성공 (0) | 2018.06.17 |
미국 소화기 교체사업과 한국 방위산업의 대응 2편 (0) | 2018.03.03 |
Su-35 (0) | 2018.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