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2005년 어린이 안전사고 분석 결과

태권 한 2008. 1. 28. 22:13

 

어린이 안전사고, 대부분 가정에서 발생

- 2005년 어린이 안전사고 분석 결과 -

 

  지난해 어린이 안전사고가 전년도에 비해 2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3세'의 영유아가 가장 많았고, 계절별로는 '여름'에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어린이 안전사고 5건중 3건은 '가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시설', '장난감류', '러닝머신' 등 스포츠·놀이용품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가장 많았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은 최근 2005년 CISS(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로 보고된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 사례 4,040건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

  - 소비자보호법에 의해 전국 62개 종합병원, 18개 소방서 등 위해정보보고기관과 소비자 상담, 핫라인 등으로부터 수집한 위해정보 DB 및 감시시스템

 

■ 어린이 '사망사고'는 줄었지만, '안전사고'는 매년 증가하고 있어
 

  통계청 '사망통계' 자료에 의하면 어린이 사망사고는 2003년 16.0%, 2004년 12.3% 감소하였지만,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어린이 안전사고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보호원 CISS 통계에 의하면, 어린이 안전사고는 2003년 47.4%, 2004년 42.8%, 2005년 2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CISS 접수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

 

구 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

1,589건

2,342건

3,345건

4,040건

증가건수(%)

-

753건(47.4%)

1,003건(42.8%)

695건(20.8%)

 

  이렇게 어린이 안전사고가 매년 증가하는 원인은 ▲안전검증이 되지 않은 신종 장난감의 출현 및 사용 증가 ▲어린이들의 스포츠 활동 증가로 안전사고 위험 요인 증대 ▲맞벌이 부부 증가로 어린이들이 부모들과 함께 있는 시간이 줄어든 것 등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 어린이 안전사고, 취학 전 연령인 6세 이하가 71.5% 차지

 

  연령별 어린이 안전사고는 '1~3세'가 39.2%(1,585건)로 가장 많았으며, '7~14세' 28.5%(1,151건), '4~6세' 27.4%(1,108건), '1세 미만' 4.9%(196건)로 나타났다.

 

  이중, '1~3세'의 안전사고가 많은 원인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하고 잡고 일어서서 걷기 시작하는 시기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계절별로는 '여름(32.0%/1,293건)'과 '봄(29.7%/1,201건)'철에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다른 계절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린이들의 활동이 왕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장소별로는 '가정'이 62.0%(2,502건)로 가장 많았으며, '공공행정 및 서비스 지역' 11.0%(446건), '공원 및 놀이시설' 10.5%(426건), '도로' 6.2%(249건) 등으로 나타났다.

 

■ 스포츠·놀이용품으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가장 많아

 

  어린이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물품으로는 '스포츠·놀이용품(놀이시설, 장난감류 등)'이 23.4%(949건)로 가장 많았으며, '건물 및 설비(문, 계단 등)' 17.2%(693건), '가구류(침대, 식탁 등)' 15.9%(641건) 등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안전사고 유발 물품별 접수 건수

 

물품명

건수

비율

스포츠·놀이용품

(놀이터 및 놀이시설, 장난감류, 인라인, 스키/보드, 킥보드, 러닝머신 등)

949건

23.4%

건물 및 설비

(문, 계단, 욕실, 목욕탕, 베란다, 화장실 등)

693건

17.2%

가구류

(침대, 식탁, 의자, 책상, 쇼파, 장식장 등)

641건

15.9%

가사/주방/식생활 용품

451건

11.2%

식료품/기호품

365건

9.0%

차량 및 승용물

189건

4.7%

문화용품/영상·음향기기

113건

2.8%

보건·위생용품

100건

2.5%

기타

539건

13.3%

 

  연령별 사고 유발 품목을 살펴보면, '1세 미만'은 가구류와 식료품, '1~3세'는 가구류와 건물 및 설비, '4세 이상'은 스포츠·레져용품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 어린이, 안전사고로 '머리'와 '얼굴' 가장 많이 다쳐

 

  어린이가 안전사고로 가장 많이 다치는 신체부위는 '머리와 얼굴'이 55.9%(2,259건)'로 가장 많았으며, '팔과 손' 17.5%(707건), '다리·발' 8.3%(334건), '호흡기 및 소화기' 7.2%(291건) 등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안전사고 다발 신체부위

 

구분

머리/

얼굴

팔·손

다리·발

호흡기

소화기

계통

목·배 등·허리

전신

생식기

기타

건수

2,259건

707건

334건

291건

205건

95건

18건

131건

비율

55.9%

17.5%

8.3%

7.2%

5.1%

2.4%

0.4%

3.2%

 

  사고 유형별로는 '추락·넘어짐·미끄러짐'이 33.5%(1,355건)로 가장 많았으며, '충돌·충격' 22.7%(917건), '이물질 흡입' 12.3%(497건), '베임·찢어짐' 8.0%(322건)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관련 행정기관에 ▲불량·불법 어린이용품에 대한 단속 강화 ▲어린이 안전정책을 저출산 대책에 포함하여 추진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및 캠페인 실시 등을 건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어린이를 둔 부모들에게는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정내에서 보호자가 있는 가운데에도 자주 발생하므로 각별한 주의와 관심을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가정내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가이드

 

☆ 추락·넘어짐·미끄러짐 사고

   o 베란다의 방충망은 고정시키고, 의자 등 물건을 두지 않는다.

   o 침대나 의자, 소파 등 가구 위에 어린이를 혼자 두지 않는다.

   o 욕실바닥은 물기나 비눗기를 없애고 미끄럼방지용 매트를 깔아둔다.

☆ 부딪치는 사고

   o 어린이용 가구는 모서리가 둥글게 처리된 것을 구입한다.

   o 가정내 가구의 모서리에는 테이프를 붙여 두거나 모서리보호대로 덧대둔다.

   o 거실이나 방의 장난감이나 생활용품을 수시로 정리정돈한다.

☆ 작은 물건·이물질 삼킴 사고

   o 유아의 연령을 고려하여 구입, 제품에 표시된 경고문을 충분히 숙지한다.

   o 3세 미만의 유아가 완구를 가지고 놀 때는 놀이과정을 지켜보아야 한다.

   o 단추나 구슬 등 작은 물건은 어린이의 손이 미치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 베임·찢어짐 사고

   o 어린이방 가구를 구입할 경우 유리제품은 피하도록 한다.

   o 칼이나 가위 등 날카로운 도구는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o 어린이가 접근하기 쉬운 유리는 비산방지용 필름이나 테이프를 붙여둔다.

☆ 끼이거나 눌리는 사고

   o 현관 출입문에는 반드시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한다.

   o 출입문 경첩의 틈새에 어린이 손가락이 끼지 않도록 틈새에 고무 등을

     부착한다.

   o 어린이와 함께 출입시에는 문을 닫기 전에 어린이의 손가락이 끼어

     있는지 확인하고 문을 닫는다.


 

* 출처: 한국소비자보호원 2005. 2. 8